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와 함께 하는 사회적재난 치유 소셜디자이너의 활동 공간입니다.


비온뒤무지개230109 줌회의 결과

이규리skku
2023-01-09
조회수 154


📌 아래 양식에 그룹별 기록 양식을 더해 작성해주세요.


일시23.01.09


[그룹별 기록 양식 추가]

  • 원래 계획했던 ‘외상 후 성장’ 프로그램은 제외하기로 함
    • 참여 인원 중에 임상 경험이 있는 전문가가 없고 카드뉴스 형태로 치료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어려움


  • ‘피해’ 라는 단어는 피해자를 이분법적으로 생각하게 할 수 있으므로 ‘간접외상을 경험했습니까?’ 같은 표현을 사용하기로 함


  • 10.29 참사에 대한 피해가 직접적인 피해 뿐 아니라 간접적인 영향을 받아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는 것도 포함한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함 -> 피해자의 범위가 넓어지는 연대감을 느낀다면 간접외상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


  • 설문조사를 하고 추첨을 통해 기프티콘을 증정할 예정
    • 활동비 20만 원 사용 가능


  • 설문의 질문 문항 확정
    •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필수 문항을 최소한의 개수로 만들기.
    • 피로도를 줄이기 위해 객관식의 선지는 많이 만들고 기타를 선택해 주관식으로도 응답할 수 있게 함.
    • ‘응답하고 싶지 않음’ 문항도 선지에 넣기.


  • 설문의 결과와 간접외상으로부터의 회복을 위한 활동을 종합하여 카드뉴스를 만들 예정


  • 할 일 정리 및 분배
    1. 설문 만들기 - 다같이
    2. 설문 하기 - 다같이
    3. 자기돌봄가이드 제안할 것 찾기 - 서지혜, 박찬희, 이규리
    4. 설문 결과 분석(텍스트마이닝 등등) - 유채빈, 서치영
    5. 카드뉴스 만들기 - 김윤혜
    6. 어떻게 배포할 것인지 생각하기 - 다같이




📌 사진은 필수




활동 후기(좋았던 점, 아쉬웠던 점, 흥미로웠던 점 또는 개선해야할 점을 중심으로)

Plus - 좋았던 점
회의 전 혼자 생각할 때는 막막했던 것이 회의를 하는 동안 구체화되어서 좋았습니다.
Minus - 아쉬웠던 점
모두 일정이 바빠 온라인으로 뵙는 것이 아쉬웠습니다.
Interest - 흥미로웠던 점/개선해야할 점
여러 인원이 모여서 의견을 주고받고 아이디어가 정리되는 것이 느껴져서 흥미로웠습니다.
종합 후기
알찬 회의가 된 것 같아서 뿌듯했고 앞으로 잘 할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