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와 함께 하는 사회적재난 치유 소셜디자이너의 활동 공간입니다.


비온뒤무지개12.29 온라인 회의록

김윤혜
2023-01-04
조회수 171

'피해자'들의 피해 정도나, 직접적인 피해/간접적인 피해 등 피해 경위등이 다 다른데, 

10.29 참사 피해자의 경우 참사 생존자, 미디어를 통해 참사를 접함으로써 발생하는 간접 외상 경험자, 참사로 인해 가족 구성원, 친구, 지인 등이 사망한 자(유가족 등)로 구분했을 때 어떠한 피해자에게 초점을 맞추어서 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됨.

+ 치료 프로그램이라고 해서 의학적으로 전문적인 치료를 도입한 다기 보다는 외상 후 치료의 목적도 있지만 외상후 '성장' 에 초점을 맞추어서 프로그램을 제작하기로 방향을 다시 설정, 피해자 범위도 마찬가지로 팀의 달성 목표가 참사 피해자 인식 범위 확대인 만큼 간접 피해자들에 더 집중해서 프로그램을 구성하기로 방향 설정

처음 피해자 인식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첫 단계 구성을 위한 여러 아이디어 제시(왠만한 사람들, 즉 피해 규모가 간접적이거나 적어도 피해자라고 인식할 수 있도록 질문 구성/ 모든 사람이 피해자)

본격적으로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한 테스트를 만들기 전에 주변 리서치를 시행하기로 함. (약 이틀간)

구글 폼을 통해서 , 사람들이 10,29 참사에 대한 어떠한 생각이나 느낌을 가지고 있는지 열린 질문으로 응답하게 함.

테스트 및 프로그램을 위한 사전 조사 (키워드 탐색) - 텍스트 마이닝을 진행.

이후 추출된 키워드를 통해 테스트 문항을 제작 (+ 기존 문헌을 참고하여)

사전 조사팀과/ 문항 제작팀으로 두가지 과제를 중심으로 역할 분담 

  • 리서치 및 테스트 제작: 김윤혜, 서치영, 이규리
  • 프로그램 제작 및 후기 수집: 박찬희, 서지혜, 유채빈

📌 아래 양식에 그룹별 기록 양식을 더해 작성해주세요.


일시
2022.12.29


[그룹별 기록 양식 추가]

📌 사진은 필수

활동 후기(좋았던 점, 아쉬웠던 점, 흥미로웠던 점 또는 개선해야할 점을 중심으로)

Plus - 좋았던 점
오프라인 회의 전 많은 생각들을 팀원들이 하고 진행했던터라, 많은 아이디어와 의견 공유가 되어 좋았다.
Minus - 아쉬웠던 점
모든 사람들이 함께 진행할 수 있던 시간이 조율되지 않아서 아쉬웠다.
Interest - 흥미로웠던 점/개선해야할 점
다른 세부 전공들이 같은 프로그램을 제작할 때 집중하는 측면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이 흥미로웠다. 
종합 후기
점점 프로그램이 구체화되가는 단계라 앞으로가 더 기대된다.




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