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문제해결을 위한 소셜디자이너의 활동 공유 공간

분리배출항목별 용어 분석 2. 폐의약품 수거 장소 ( 관련 주제어, 언론 분석 바탕으로)

­정예지 / 학생 / 환경계획학과
2022-06-29
조회수 254

📌 아래 양식에 그룹별 기록 양식을 더해 작성해주세요.

일시
06.29


[그룹별 기록 양식 추가]

📌 사진은 필수

폐의약품 수거 장소/ 수거함에 대한 인식 조사를 파악하기  위해 관련 주제어 검색과 언론  1000갸룰  빅데이터를  지난 1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1.  관련 주제어  (인기),  지난 12 개월, 웹검색 기준  - 가장 인기 있는 주제로 은 검색 빈도가 가장 높은 주제의 경우 100, 검색 빈도가 그 절반 정도인 주제의 경우 50으로  측정.


2. 관련 주제어 ( 급상승), 지난 12개월, 웹검색 기준  - 지난 기간 이후로 검색 빈도가 가장 많이 증가한 관련 주제.



3.  언론 분석 , 전국구 뉴스 1000개  기준, 지난  1년 동안



결론: 

검색을 하는 주체 (  맵핑 사용자)는 폐의약품  연관 검색으로 약국을 제일 많이 검색한것으로 파악됨.

언론  부석결과  보건소,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순으로 나옴. 


이번 분석을 통하여,  (관악구 국한, 다른 지역 조례 파악 단계) 폐의약품 수거 장소가 약국이 아니라는 변경 조례를 홍보해야됨을 알수 있었다.



활동 후기(좋았던 점, 아쉬웠던 점, 흥미로웠던 점 또는 개선해야할 점을 중심으로)

Plus - 좋았던 점
근 1년간의 언론 분석을 통해 폐의약품 변경 사항에 대한 키워드 분석을 알아볼수 있었다.
Minus - 아쉬웠던 점
다른 지역 조례와 함꼐 비교시 부석의 의미 도출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싶다.
Interest - 흥미로웠던 점/개선해야할 점
플라스틱/  종이팩  지자체 별 언론 분석, 관계도 분석을 통해  지자체별 용어를 정리해봐야겠다.
종합 후기
검색자와 언론 간의  폐의약품 수거 장소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정책 홍보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