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문제해결을 위한 소셜디자이너의 활동 공유 공간

공동체인식모임후기_지속가능한 작품 제작 가이드북 워크숍

MISEON SONG
2022-07-07
조회수 146

📌 아래 양식에 그룹별 기록 양식을 더해 작성해주세요.

일시
6월30일/7월 1일


[그룹별 기록 양식 추가]

 

모임인원프린지페스티벌에 참여하는 예술가
모임일시/장소2022.06.30 & 07.01  / 서울혁신파크
발제 자료 사진

활용한 자료The Theatre Green Book 1. 지속가능한 제작 
이야기내용서울프린지페스티벌의 '에코프린지'와 The Theatre Green Book 매뉴얼 한국본 함께 읽기 워크숍을 진행함
사전 질문들로 생각을 열고, 씨어터 그린북을 함께 읽고 각자의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보냄

<사전질문들>

• 기후변화에 대해서 예술가/예술은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까요?

• 예술 활동을 친환경적으로 전환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 친환경적으로 예술 활동을 하는 데 발생하는 장벽은 무엇이며, 어떻게 이를 극복할 수 있을까요?

• 창작과 유통과정에서의 협업자와는 어떻게 대화해야 할까요? 

• 지역 및 시민 관객과는 어떻게 대화해야 할까요?

이야기하면서 나온 각자의 키워드는;
지속가능성, 시각, 지역, 관객의 시선, 최근 감지한 기후위기, 강요가 아닌 동참 시스템을 어떻게 만들까?, 갈등 최소화하기, 창작의 영역과 환경 보호의 영역, 기존 창작방식의 노하우와 기후위기 시대 창작방식의 충돌과 만남, 친환경 공연 인증마크, 마음가짐과 태도 등

 자료별점(5점 만점)

★★★★  4점


활동 후기(좋았던 점, 아쉬웠던 점, 흥미로웠던 점 또는 개선해야할 점을 중심으로)

Plus - 좋았던 점
기후위기 시대에 창작방식을 고민하는 젊은 예술가들과 생각을 공유하고 이야기 나눌 수 있는 시간이 되어서 좋았음
Minus - 아쉬웠던 점
아직 매뉴얼이 한국에 적용하기에는 어느정도 무리가 있는 점이 있어서 아쉬움
Interest - 흥미로웠던 점/개선해야할 점
자료 번역시 고민했던 지점과 예술가들이 고민하는 지점이 맞닿아 있는 지점들이 많아서 흥미로웠음
종합 후기
영국에서 발간된 자료로 한국 창작환경에 맞게 자료를 만들기 위해 진행된 워크숍으로, 다들 진지한 자세로 매뉴얼을 함께 읽고 각자의 생각을 공유해주었음. 기후위기를 다루는 창작공연을 준비하시는 분들도 있고, 과정에서 기후위기를 담고자 하는 분들도 계셔서 그분들의 고민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을 느낄 수 있어서 좋았음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