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책소개 대한민국 최초로 SDGs 교육용 도서가 출간됐다. 이창언 경주대 SDGs·ESG 연구센터장이 지은 ‘SDGs 교과서 -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이론과 실제’는 SDGs 교육을 위해 집필된 책이고, 분야별로 주제를 정한 책들과 달리 UN에서 SDGs가 정리되온 과정 뿐만 아니라 각 목표별 목표와 세부 과제들을 상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SDGs 교육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국제-지역-국가-지방의 변화를 이끌어 내고 있고, 새로운 정책, 규제, 관행, 생활양식과 습관, 사회, 경제, 환경적 조건의 개선, 사회문제의 우선순위 선정과 해법을 제시한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대한민국 최초로 지속가능발전목표에 접근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키워드로 보면 지속가능발전, 유엔의 지위와 역할, SDGs 시대의 의미, 지속가능발전 2030 의제, SDGs 목표, 세부목표, 지표, SDGs 세계관, SDGs 전략, 각 섹터(정부, 기업, 시민사회, 대학)의 역할과 과제, 국가-도시에서의 SDGs 이행실천 기법, 일상에서의 SDGs 실천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저자 이창언 교수 소개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연세대, 성공회대 연구교수를 역임하며 사회운동, 지속가능발전과 협치, 도시지속가능성을 연구했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서 ‘배우고 가르치는 이’로 근무하다가 사직하고, 남경대학 정부관리학원에서 공부했고, 현재는 경주대학교 SDGs-ESG 연구센터장 및 대학원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경주와 평택, 서울 등 지역을 가리지 않고SDGs 전도사의 역할을 자임하고 있으며, 활발한 신문기고, 강연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시민과의 약속 매니페스토』(공저, 이학사, 2011,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우수저작 선정), 『갈등을 넘어 협력사회로: 로컬거버넌스시대의 지방의제21과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공저, 살림터, 2014, 한국연구재단 우수저작 지원 선정), 『박정희 시대 학생운동-유신체제하 대학생의 저항적 정체성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한신대출판부, 2014) 등이 있고, 최근 논문으로는 「한국 지방 SDGs 교육의 현황과 과제」(2020), 「한국 도시 SDGs 이행의 보편성과 지역성」(2020), 「SDGs를 통한 대학교육 혁신과 대학의 사회적 역할 제고를 위한 연구」(2020) 등이 있다.
|
📌 아래 양식에 그룹별 기록 양식을 더해 작성해주세요.
대한민국 최초로 SDGs 교육용 도서가 출간됐다. 이창언 경주대 SDGs·ESG 연구센터장이 지은 ‘SDGs 교과서 -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이론과 실제’는 SDGs 교육을 위해 집필된 책이고, 분야별로 주제를 정한 책들과 달리 UN에서 SDGs가 정리되온 과정 뿐만 아니라 각 목표별 목표와 세부 과제들을 상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SDGs 교육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국제-지역-국가-지방의 변화를 이끌어 내고 있고, 새로운 정책, 규제, 관행, 생활양식과 습관, 사회, 경제, 환경적 조건의 개선, 사회문제의 우선순위 선정과 해법을 제시한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대한민국 최초로 지속가능발전목표에 접근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키워드로 보면 지속가능발전, 유엔의 지위와 역할, SDGs 시대의 의미, 지속가능발전 2030 의제, SDGs 목표, 세부목표, 지표, SDGs 세계관, SDGs 전략, 각 섹터(정부, 기업, 시민사회, 대학)의 역할과 과제, 국가-도시에서의 SDGs 이행실천 기법, 일상에서의 SDGs 실천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저자 이창언 교수 소개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연세대, 성공회대 연구교수를 역임하며 사회운동, 지속가능발전과 협치, 도시지속가능성을 연구했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서 ‘배우고 가르치는 이’로 근무하다가 사직하고, 남경대학 정부관리학원에서 공부했고, 현재는 경주대학교 SDGs-ESG 연구센터장 및 대학원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경주와 평택, 서울 등 지역을 가리지 않고SDGs 전도사의 역할을 자임하고 있으며, 활발한 신문기고, 강연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시민과의 약속 매니페스토』(공저, 이학사, 2011,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우수저작 선정), 『갈등을 넘어 협력사회로: 로컬거버넌스시대의 지방의제21과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공저, 살림터, 2014, 한국연구재단 우수저작 지원 선정), 『박정희 시대 학생운동-유신체제하 대학생의 저항적 정체성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한신대출판부, 2014) 등이 있고, 최근 논문으로는 「한국 지방 SDGs 교육의 현황과 과제」(2020), 「한국 도시 SDGs 이행의 보편성과 지역성」(2020), 「SDGs를 통한 대학교육 혁신과 대학의 사회적 역할 제고를 위한 연구」(2020) 등이 있다.
[그룹별 기록 양식 추가]
📌 사진은 필수
활동 후기(좋았던 점, 아쉬웠던 점, 흥미로웠던 점 또는 개선해야할 점을 중심으로)
다소 분량과 금액이 부담이 되지만, 내손 닫는 어디에 놓고서 손쉽게 꺼내 읽으면서 이해할 수 있는 책이 아닌가 싶다.